선풍기, ‘이렇게’ 쓰면 더 시원…에어컨 전기료 아껴보세요
본문
전국을 할퀸 극한호우가 물러간 후 불볕더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냉방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실내에서 에어컨을 켜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지만, 가정에서 온종일 사용하기에는 전기료 부담이 크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의 시간당 소비 전력은 500W에서 1100W다. 선풍기가 20~60W인 것을 고려하면, 에어컨을 1시간 작동시킬 때 쓰이는 전력으로 선풍기를 최대 55시간까지 켜둘 수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기료 절감을 위해 선풍기로 실내 환경을 시원하게 만드는 방법들이 공유되고 있다. 여름철 선풍기를 활용한 다양한 냉방법을 정리했다.
선풍기 뒤에 얼음이나 냉매제 달기대중에게 잘 알려진 방법 가운데 하나로, 선풍기의 원리를 활용해 평소보다 차가운 바람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선풍기는 날개가 회전하며 뒤쪽 공기를 끌어와 앞쪽으로 증폭시켜 바람을 보낸다. 따라서 뒤쪽 공기를 차갑게 만들면 선풍기 바람도 더욱 시원해진다.
선풍기 모터 부분에 얼린 생수를 테이프로 붙이는 방법 등이 있지만 쉽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얼린 생수통을 꽂아 넣을 수 있는 바구니를 직접 만들었다는 경험담도 전해진다.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냉매를 채운 선풍기 장착용 아이스팩도 등장해 인기를 끌고 있다.
다만 생수통과 아이스팩에서 흘러나온 물과 이슬방울이 누전을 일으키지 않도록 방수 대책도 함께 세워야 한다.
천장을 향해 바람을 보내기더운 공기는 입자 운동이 활발해 밀도가 낮아져 위로 올라가고, 차가운 공기는 반대로 밀도가 높아 아래로 가라앉는다. 이를 대류 현상이라고 하는데, 선풍기를 활용하면 실내 공기에 대류를 일으켜 체감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대다수 선풍기는 목 부분에 각도 조절 장치가 있다. 목을 꺾어 바람을 천장 방향으로 쏘면 위쪽 열기를 아래로 끌어내려 전반적인 공기 순환이 이뤄진다.
뭉쳐 있던 더운 공기가 흩어져 체감하는 실내 온도는 더 낮아지게 된다. 층고가 높은 공간이라면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몸이 아니라 창밖을 향하게 두기선풍기를 단순히 바람을 쐬는 용도로만 쓰기보다는 하나의 공기조절장치로 본 활용법이다.
마찬가지로 선풍기가 바람을 일으키는 원리에 착안한 방법이다. 실내에 있는 더운 공기를 창밖으로 밀어 보내고 바깥 공기를 들여보내면 된다.
실내에 있던 더운 공기의 빈자리는 대류 현상에 따라 바깥에 있던 시원한 공기가 채우게 된다.
이 경우 특히 바깥 기온이 실내보다 낮은 저녁이나 밤, 새벽 시간대에 효과적이다. 외부 찬 공기의 유입량을 늘리려면 창문을 두 개 이상 여는 게 좋다.
선풍기도 쉬어야 한다선풍기를 오랜 시간 작동시킨 뒤 뒤쪽 모터 부분에 손을 대 보면 열기가 느껴진다. 장시간 작동한 모터가 열을 뿜어내 기계가 달궈진 것이다.
모터가 과열되면 선풍기 뒤쪽 공기도 뜨거워져 선풍기 바람도 덩달아 데워져 시원하지 않게 느껴질 수 있다. 전열기이니만큼 과열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일정 시간마다 전원을 끄는 게 좋다.
연속 2시간 이상 선풍기를 켜 두었다면 잠시 전원을 끄고, 모터가 식은 걸 확인한 뒤에 다시 작동시키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6개월에 250만원”…MZ세대 허리 휘는 ‘이것’ 현실
[오늘의 운세] 2025년 8월 17일
새벽 1시, 2시, 3시… 날 새겠네, 나 잡겠네
日서 ‘엉덩이 호흡’ 첫 인간 적용 성공…획기적 치료법이라는데, 뭐길래
여러 암의 위험 요인인 비만…“男은 ‘이것’으로 확인하세요”
물 대신 음료, 바쁘다고 소변 참다 혼수상태…한쪽 신장 퉁퉁 부은 20대男, 의사 진단은
[오늘의 운세] 2025년 7월 27일
“30분 걷기보다 ‘이것’ 딱 10번씩만”…혈당 뚝 떨어진다
스타벅스 텀블러 득템하는 방법?…‘리워드 혜택’ 바뀌고 다들 이렇게 구한다는데
“4시간만 자도 충분?”…수면 3일만 부족해도 ‘이 병’ 위험 커져
6m3xty
관련링크
- 이전글피나스테리드 5mg x 90정 (탈모방지제) 구매대행 - 러시아 약, 의약품 전문 직구 쇼핑몰 25.11.03
- 다음글이버멕틴 후기 부작용 체크! - 러시아 직구 우라몰 ulaG9.top 25.11.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